본인부담 상한제 사후환급금 받는 방법 모든 정보

본인부담 상한제가 무엇인지 환급은 어떻게 받는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2021년 개인별 본인부담상한액이 확정되어서 8월 24일 수요일부터 상한액 초과금 지급 절차를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많게는 몇백만원 적게는 몇십만원의 초과 의료비에 대한 환급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본인부담상한액 초과 의료비 환급 정보

먼저 환급받는 방법을 알려드리기 전에 설명부터 드리겠습니다.

본인상한제란 과도한 의료비로 인한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서 연간 본인부담금 총액이 개인별 상한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금액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여 가입자 및 피부양자에게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의 수혜자와 지급액이 꾸준히 증가 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연도별 건강보험 총지출 대비 본인부담상한제 지급액 현황

이번 개인별 본인부담상한액 확정을 통해 의료비 본인부담상한액을 초과하여 의료비를 지출한 174만 9,831명에게 2조 3,860억원이 지급되기로 했습니다.

이는 평균 1인당 136만원이라는 큰 금액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급 대상자에게 8월 24일부터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급 지급 신청 안내문을 발송합니다.

안내문을 받은 지급대상자는 인터넷 및 스마트폰 어플 등 여러가지 신청방법을 통해 본인 명의의 계좌로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부담상한제의 수혜 계층은 소득 하위 50% 이하와 65세 이상 고령층이 가장 많은 혜택을 봅니다.

부모님들에게 알려주도록 합시다.

환급 대상자인지 확인 하는 방법

사후급여의 경우 개인별 상한액 기준보험료 결정 전 후로 나누어 개인별 본인부담상한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건강보험공단에서 환자에게 직접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소득분위별 본인부담상한액 및 월별 기준보험료

위의 소득 분위별로 본인부담상한액은 달라지며 이 상한액을 초과한 의료비는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소득분위를 알고 싶다면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만일 청년월세지원 서비스를 알고 싶다면 아래 글을 참고 하도록 합니다.

 

청년 월세지원 최신 정보

국토교통부에서 청년들의 주거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청년 월세지원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청년 월세지원 최신 정보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이번 청년월세 특별지원은 전국적으로 시행

dailyissue10.tistory.com

복지로 홈페이지를 들어가보면 모의계산 서비스가 있는데 이 중에 기초연금,국민기초 생활보장,장애인 연금 등의 모의계산 서비스를 통해 계산이 가능합니다.

 

아래 사안들을 작성을 일단 해야 합니다.

아래 사안들을 다 작성하고 결과보기를 클릭하면 소득분위를 알 수 있습니다.

모의계산 정보입력 화면(기초연금) (bokjiro.go.kr)

 

teu/app/twat/twatb/twatbz/TWAT53007E

 

www.bokjiro.go.kr

신청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누리집 또는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국민건강보험 (nhis.or.kr)

 

국민건강보험

이벤트 1 / 8

www.nhis.or.kr

The건강보험 - Google Play 앱

 

The건강보험 - Google Play 앱

The건강보험 서비스는 공단 홈페이지내의 주요 콘텐츠를 국민들이 모바일에서 쉽고 빠르게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play.google.com

App Store에서 제공하는 The건강보험 (apple.com)

 

‎The건강보험

‎더 건강한 국민의 삶을 위해 모바일로 편리하게 민원서비스를 이용하세요. 1. 민원여기요 - 자격득실확인서, 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증명서 5종을 제출기관에 팩스로 보낼 수 있습니다. - 보험

apps.apple.com

아래는 실제로 환급 받은 사례 두 가지입니다.

의료비 지출이 많은 환자분들에게는 정말 큰 도움이 될 의료비 지출 환급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아래 정말 좋은 꿀 정보에 대해 남겨두었으니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사는 동안 필요한 정보

Designed by JB FACTORY